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메뉴 건너뛰기

1409 Architects

나눔터 FREE BOARD



  한국도시설계학회지 2006년 12월호
563
호   2007. 1. 23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2006년 12월호

이번호 뉴스레터는 한국도시설계학회지 2006년 12월호를 소개합니다.
한국도시설계학회지 2006년 12월호는 7편의 논문이 수록되었습니다.
관련 연구자분들의 많은 이용바랍니다.

 한국도시설계학회지 2006년 12월호
제2종지구단위계획과 개발행위허가제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지구단위계획은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도시관리를 위해 도입된 제도이며 개발행위허가제는 토지형질변경을 위해 도입된 제도이다. 이렇게 각각의 다른 목적을 가지고 도입된 제도가 비도시지역에 적용되면서 제2종지구단위계획은 도시관리 뿐 아니라 도시개발을 위한 제도로 의미가 변화하였고, 개발행위허가제는 소규모 개별필지단위에서 벗어나 ...
도심형 단독주택지 블록 및 필지의 개발 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본 연구는 도심의 주거지 개발양상이 주로 공동주택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시점에서 도시주거의 다양화와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대안으로써 단독주택의 가치 및 중요성이 새롭게 강조되고 있으며, 특히 도심지 단독주택지는 보전문제가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서구화 되어가는 생활양식과 주택의 질에 대한 요구에도 불구하고...
공간문화행태로서의 도심형 신레포츠를 위한 공간설계 연구  
  공간설계가들은 도시에서 발생하는 여러 공간문화행태들의 변화에 민감하게 대처하여야 하며, 도시공간속에서 이들이 효과적으로 어우러지고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을 가꾸어 나가야 한다. 이른바 ‘도심형 신레포츠’는 비교적 최근에 도심공간속에 발생하여 독특한 공간 활용 방식과 행태상의 특징을 보이는 공간문화행태이나, ...
공개공지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공개공지는 도시공간의 공공성을 높이기 위해 중요한 공간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지구단위계획 등 여러 가지 제도적 수단을 통해 공개공지의 조성을 장려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공개공지 조성에 따른 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많다. 본 연구에서는 공개공지의 계획요소가 이용특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여 향후 도시설계에 있어서...
뉴타운지구내 건축밀도 및 층수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뉴타운사업의 제도적 기반확보를 위한 특별법 제정에 따라 기존 뉴타운계획에 대한 고찰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 뉴타운 및 정비계획의 밀도 및 층수설정기준을 검토하고 특별법의 제정에 맞춰 앞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고 입지여건에 적합하며 쾌적한 주거환경개선을 위해 새로운 기준안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8가지 항목의 계획지표를 제시하였고...
담장허물기 사업으로 인한 보행환경의 변화가 커뮤니티 의식에 미치는 영향  
  이 논문은 담장허물기 사업으로 인한 보행환경의 변화가 주민들의 커뮤니티 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담장허물기 사업은 주택가의 담장을 허물고 개별필지를 주차공간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주차정책의 일환으로 시행중이다. 서울시는 이 사업을 통하여 주차문제를 해결할 뿐만 아니라 보행환경을 개선하여 커뮤니티를 활성화시키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성세자생도(盛世滋生圖)」에 묘사된 청대 소주(蘇州)의 공간구성적 특징에 관한 연구  
  이 연구는 청대의 화가 서양(徐揚)이 18세기 중엽의 소주(蘇州)를 묘사한 그림「성세자생도(盛世滋生圖)」를 통해 당시의 공간구성적 특성과 시민들의 삶의 모습을 살펴보려 한 것이다. 이 그림에는 당시의 물리적 환경과 생활상들이 생생하게 묘사되어 있기 때문에, 18세기 중반의 소주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다. 이 연구에서는「성세자생도」를 중심으로 ...
 ■ 최근 업데이트 문헌 (2007년 1월 15일 ~ 2007년 1월 19일)
 
한국설비기술협회지 <설비  |  공조 냉동 공조>2007년 1월호
[신년사] 업계의 협력 증진을 기대하오며. . .
[권두언] 초고층 건물의 기계설비시스템과 관련하여. . .
[특집원고] 초고층 건축물의 개요와 발전방향
[특집원고] 초고층 건물의 열원 및 공조설비 계획
[특집원고] 초고층 건물의 위생설비 계획
[특집원고] 연돌효과로 인한 압력차 및 문제점
[특집원고] 초고층 공동주택 코어부분의 냄새확산 제어를 위한 급배기 용량 및 위치 선정방법
** 전체보기
 
대한건축학회 2006년 학술발표대회논문집
대한설비공학회지 <설비저널> 2006년 12월호
대한설비공학회지 <설비저널> 2007년 1월호
 
 

- 건설연구정보센터 정보관리부 연구원 박혜령
 
위로